티스토리 뷰
와이어프레임(Wireframe)
: 와이어로 설계된 모양
단순한 선이나 도형으로 웹/앱의 인터페이스를 시각적으로 묘사한 것
레이아웃과 구조를 보여주는 용도
목업(Mock-up)
: 실제 작동하는 모습과 동일하게 하드코딩
와이어프레임> 목업> JavaScript
이 단계를 따르지 않으면 설계도 없이 건물을 짓는 것과 같다.
Flexbox 속성
* 부모요소에 적용
display: flex;
flex-direction 정렬축 정하기
- row 가로 정렬(기본값)
- column 세로 정렬
- row-reverse 가로 역순 정렬
- column-reverse 세로 역순 정렬
flex-wrap 줄 바꿈 설정하기
: 하위 요소 크기가 상위 요소 크기를 초과하면 줄바꿈을 할지 여부 설정
- nowrap 줄바꿈하지 않음(기본값)
- wrap 줄바꿈
- wrap-reverse 역순 줄바꿈
justify-content 축 수평 방향 정렬(컨텐츠 정렬 방식)
justify-content | row | column |
flex-start | 왼쪽 정렬 | 위쪽 정렬 |
flex-end | 오른쪽 정렬 | 아래쪽 정렬 |
center | 가운데 정렬 | 가운데 정렬 |
space-between | 양쪽 정렬 | 상하 정렬 |
space-around | 가운데+여백 정렬 | 가운데+여백 정렬 |
align-items 축 수직 방향 정렬(컨텐츠 정렬 방식)
align-items | row | column |
stretch | 채우기 | 채우기 |
flex-start | 위쪽 정렬 | 왼쪽 정렬 |
flex-end | 아래쪽 정렬 | 오른쪽 정렬 |
center | 가운데 정렬 | 가운데 정렬 |
baseline | 폰트 아래선 기준 | 폰트 아래선 기준 |
* 자식 요소에 적용
flex: grow(팽창 지수) shrink(수축 지수) basis(기본 크기)
flex: 0 1 auto; 기본값
grow(팽창 지수)
: 요소의 크기가 늘어나야할 때 얼마나 늘어날 것인지
- 0 빈 공간이 있어도 늘어나지 않음(기본값)
- 1(비율) 상위 컨테이너에서 지정한 비율만큼 공간 차지
shrink(수축 지수)
: 요소의 크기가 줄어들어야할 때 얼마나 줄어들 것인지
grow와 반대로 설정한 비율만큼 박스가 작아짐
- 1 기본값
grow와 shrink를 동시에 사용하지 말 것
shrink는 width나 basis에 따른 비율이어서 실제 크기 예측이 어렵기 때문에
비율로 레이아웃을 지정할 경우 grow 사용(flex: grow 1 auto;)을 권장.
basis(기본 크기)
: grow 나 shrink에 의해 늘어나거나 줄어들기 전에 가지는 기본 크기
- auto 콘텐츠 크기를 기준으로 기본 크기 결정(기본값), relative flex item
12 | 12345 | 1 |
- 0 콘텐츠 크기와 상관 없이 기본 크기 결정, absolute flex item
12 | 12345 | 1 |
참고
- width와 basis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basis가 우선
- 콘텐츠가 많아 자식 박스가 넘치는 경우 width가 정확한 크기를 보장하지 않음,
flex-basis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자식 박스가 넘치는 경우를 대비해 width 대신 max-width(최댓값 설정) 사용 가능
'코드스테이츠(SEB_FE_42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S] Element 선택(querySelector/ getElementById) (0) | 2022.11.01 |
---|---|
[CSS] 속성(z-index, filter 등), Grid (0) | 2022.10.31 |
[CSS] 문법, Selector (0) | 2022.10.27 |
[HTML] 태그 (0) | 2022.10.27 |
[JS] 제곱, 제곱근, 소수 구하기 (0) | 2022.10.25 |